이런 의문이 들었다.
IP 주소도 어차피 router 거치면서 다 찾아가는데 그럴거면 MAC 주소를 다 등록해놓고 MAC 주소를 라우팅해서 찾아가면되는데 IP 주소를 왜 쓸까??
이 부분에 대해 찾아본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1. 일단 MAC 주소와 IP 주소는 용도가 다르다.
먼저, MAC 주소는 NIC 별로 조금 더 추상적으로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기기별로 고유한 값을 갖는다. 이 주소는 기기가 공장에서 만들어질 때 정해진다. 즉, 기기와 기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반면,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Host들이 서로 통신할 때 사용되는 주소다. MAC 주소의 구별단위는 기기였는데, IP 주소의 구별단위는 Host다. 즉 기기가 달라지더라도 Host 만 같으면 그만이다. 비유를 하자면, 내가 핸드폰을 아이폰12에서 아이폰13으로 바꾸어도 휴대폰 번호는 바뀌지 않고 휴대폰 번호만 알면 우리는 통신을 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 이 때 아이폰12와 아이폰13의 MAC 주소는 다르겠지만 말이다.
2. 모든 MAC 주소를 Routing 하는 Table 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
첫번째로, MAC 주소는 기기마다 고유한 값이기 때문에 전세계 모든 기기의 MAC 주소를 수집하는 것부터 쉽지 않다. 그리고 이 수많은 기기를 저장하고 기기를 부시면 삭제하고 이렇게 관리하기가 불가능에 가깝다.
두번째로, IP 주소는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특정 지역이나 네트워크의 기기들이 비슷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게 된다. 이렇게하면 네트워크를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는 반면 MAC 주소는 기기마다 고유하게 부여되기 때문에 이런 구조를 만들 수가 없다.
모든 것엔 왠만하면 다 이유가 있다.
'데이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Communication] 링크 계층에서의 프로토콜 : ARP, PPP (0) | 2023.05.01 |
---|---|
[Data Communication] Encapsulation 시 Ethernet Header 의 Destination 이 어떻게 작성되는가? (0) | 2023.04.18 |
[Data Communication] Switching,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0) | 2023.04.15 |
[Lab - Data Over Sound] 모스부호로 데이터 전송하기 (0) | 2023.04.05 |
[Data Communication] 다중화 (Multiplexing)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