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庸
article thumbnail
[Data Communication] 링크 계층에서의 프로토콜 : ARP, PPP
데이터 통신 2023. 5. 1. 23:40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의 전송은 인접 노드로의 전송만이 가능합니다. 즉, 데이터 프레임은 같은 LAN 내에 존재하는 컴퓨터 - 컴퓨터, 컴퓨터 - 공유기 사이에서 전송됩니다. 이렇게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Destination 의 MAC 주소를 알아야합니다. 예를 들어, www.tistory.com 으로 접속하고자 한다면, DNS 가 www.tistory.com 의 IP 주소를 알려줄 수 있지만, MAC 주소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www.tistory.com 으로 어떻게 링크 계층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을까요? 위 그림을 보면 A,B,C 컴퓨터가 같은 네트워크 (LAN) 에 연결되어 있고, A 컴퓨터에서 외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컴퓨터 P 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합니다. ..

article thumbnail
[Data Communication] Encapsulation 시 Ethernet Header 의 Destination 이 어떻게 작성되는가?
데이터 통신 2023. 4. 18. 23:57

오른쪽 Host 처럼 우리가 어떤 HTTP 요청을 보낸다고 하자. 그러면 이것이 Encapsulation 을 할 때 , TCP 계층에서 Destination 의 포트를 적고 IP 계층에서는 DNS 를 통해서 IP 주소를 받아온 뒤 IP Header 에 Destination IP 를 적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Data Link 계층에서 Ethernet Header 에 Destination MAC Address 은 어떻게 적을 수 있을까? 내가 서버의 MAC 주소를 다 알고 있을리는 만무하다. 결론 : 도착지 IP 에 해당하는 머신의 MAC 을 직접 담을 수는 없다. 계속된 Routing 을 통해 목적지까지 보낼 수 있다. 찾아보았더니 ARP (Address Resoultion Protocol) 이라..

[Data Communication] IP 주소를 왜 쓸까?
데이터 통신 2023. 4. 18. 19:30

이런 의문이 들었다. IP 주소도 어차피 router 거치면서 다 찾아가는데 그럴거면 MAC 주소를 다 등록해놓고 MAC 주소를 라우팅해서 찾아가면되는데 IP 주소를 왜 쓸까?? 이 부분에 대해 찾아본 결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1. 일단 MAC 주소와 IP 주소는 용도가 다르다. 먼저, MAC 주소는 NIC 별로 조금 더 추상적으로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기기별로 고유한 값을 갖는다. 이 주소는 기기가 공장에서 만들어질 때 정해진다. 즉, 기기와 기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반면,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Host들이 서로 통신할 때 사용되는 주소다. MAC 주소의 구별단위는 기기였는데, IP 주소의 구별단위는 Host다. 즉 기기가 달라지더라도 Host 만 같으면 그만이다...

article thumbnail
[Data Communication] Switching,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데이터 통신 2023. 4. 15. 01:46

여러 대의 컴퓨터를 잇다보면 교차점 (Intersection) 이 생길 수 있습니다. 즉 A 컴퓨터에서 E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려 할 때 그 사이에 있는 B,C,D 컴퓨터 중 어떤 컴퓨터를 거치느냐에 따라 E 로 가는 Route 가 다릅니다. 이렇게 교차로에서 메세지를 교환하는 기술을 Switching 이라고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위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회선 교환 (Circuit Switching) 전화의 경우 Circuit Switching 방식을 사용합니다. 회선 교환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신 시작 전에 연결 설정 필수 통신 종료 이후 연결 해지 필수 예전에는 위의 그림과 같은 Circuit Switch 를 사용했다고합니다. 즉, A 라는 전화기에서 E 라는 전화기로 연결할..